JSP

제4장. 필수 이해 요소

십억10 2009. 3. 23. 14:09
 

▶ 필수 이해 요소

● JSP의 처리 과정

※ JSP 처리 과정

 

 

  - 1.1 : JSP와 관련된 서블릿 클래스가 없는 경우

  - 1.2 : JSP로부터 자바 코드 생성

  - 1.3 : 자바 코드 컴파일

  - 2.1 : 서블릿에 요청 전달

  - 2.2 : 처리 결과 전송

※ 웹 콘테이너

  - JSP에 해당하는 서블릿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JSP 페이지를 컴파일하여 서블릿을 생성한 후, 생성된 서블릿을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한다.

  - JSP에 해당하는 서블릿이 존재하는 경우, 곧바로 서블릿을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한다.


※ JSP 페이지를 요청할 때

  - JSP를 직접적으로 실행하지 않고 JSP를 자바 소스 코드로 변환한 후 컴파일해서 생성된 서블릿을 실행

  - 변환(translation) 단계 : JSP 페이지를 자바 코드로 변경하는 단계

  - 컴파일(complie) 단계 : 자바코드를 서블릿 클래스로 변경하는 단계


※ 자바 소스코드와 서블릿 클래스의 생성 위치

C:\톰켓\work\Catalina\localhost\asdf\org\apache\jsp


● 출력 버퍼

※ 버퍼의 사용

  - JSP 페이지는 생성된 결과를 웹 브라우저에 바로 전소하지 않고, 출력 버퍼라고 불리는 곳에 임시로 출력 결과를 저장했다가 한번에 웹 브라우저에 전송

  - 장점

   ① 데이터 전송 성능이 향상된다.

   ② 곧바로 웹 브라우저로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, JSP 실행 도중에 버퍼를 비우고 새로운 내용을 보여줄 수 있다.

   ③ 버퍼가 다 차기 전까지는 헤더를 변경할 수 있다.

※ 버퍼 설정

  - page 디렉티브에서 buffer 속성으로 설정해준다.

<%@ page buffer = "4kb"%>

  - 일반적으로는 버퍼속성을 지정하지 않는다. 지정하지 않으면 8kb의 속성값을 갖는다.


● 웹 어플리케이션의 폴더 구조

- WEB-INF\ :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클래스 파일 및 설정 파일 등이 저장되는 폴더

- WEB-INF\web.xml :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전반적인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

- WEB-INF\classes :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클래스 파일이 위치한다.

- WEB-INF\lib : 웹 어플리케이tus에서 사용하는 Jar 파일이 위치한다.

- WEB-INF\tld : 태그 라이브러리 관련 설정 파일은 보통 tld 폴더에 저장한다.

'J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제6장. MVC(Mode-View-Controller) 개념  (0) 2009.03.27
제5장. 쿠키  (0) 2009.03.24
제3장. 내장객체(기본객체) request, response  (0) 2009.03.20
제2장. page 디렉티브와 스크립트  (0) 2009.03.20
제1장. JSP 기본개념  (0) 2009.03.20